걸프전 연설 (1991) - 조지 H.W. 부시
-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을 규탄하며 다국적군의 개입을 정당화하고 전쟁 목표를 설명함.
걸프전 연설 (1991) - 조지 H.W. 부시
1. 영어 원문
Tonight, I want to talk to you about what is at stake: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the rule of law, and the peace of a region that is vital to the security of the United States.
This is not simply some distant conflict that does not affect us. It is a test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a stand against aggression.
The United Nations has set a deadline for Iraq to withdraw from Kuwait. That deadline has now passed.
We have no other choice but to take action to expel Saddam Hussein's forces from Kuwait and restore its legitimate government.
We will not waver, we will not tire, we will not falter, and we will not fail. Peace and justice will prevail.
2. 한국어 번역
오늘 밤, 저는 여러분께 우리가 직면한 중요한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그것은 자기 결정권의 원칙, 법의 지배, 그리고 미국의 안보에 필수적인 지역의 평화입니다.
이것은 단순히 우리와 무관한 먼 나라의 분쟁이 아닙니다. 이는 국제 협력의 시험이며, 침략에 대한 강력한 대응입니다.
유엔은 이라크가 쿠웨이트에서 철수할 것을 요구하는 기한을 설정했습니다. 이제 그 기한이 지났습니다.
우리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사담 후세인의 군대를 쿠웨이트에서 축출하고 정당한 정부를 복원하기 위해 행동해야 합니다.
우리는 흔들리지 않을 것이며, 지치지 않을 것이며, 주저하지 않을 것이며, 실패하지 않을 것입니다. 평화와 정의는 반드시 승리할 것입니다.
3. 영어 읽기용 한글 표기
터나잇, 아이 원트 투 톡 투 유 어바웃 왓 이즈 엣 스테이크: 더 프린서펄 오브 셀프-디터미네이션, 더 룰 오브 로우, 앤드 더 피스 오브 어 리전 댓 이즈 바이틀 투 더 시큐리티 오브 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디스 이즈 낫 심플리 섬 디스턴트 컨플릭트 댓 다즈 낫 어펙트 어스. 잇 이즈 어 테스트 오브 인터내셔널 쿠어퍼레이션 앤드 어 스탠드 어게인스트 어그레션.
더 유나이티드 네이션즈 해즈 셋 어 데드라인 포 이라크 투 위드드로우 프롬 쿠웨이트. 댓 데드라인 해즈 나우 패스트.
위 해브 노 아더 초이스 벗 투 테이크 액션 투 익스펠 사담 후세인즈 포시즈 프롬 쿠웨이트 앤드 리스토어 잇츠 리지티밋 거버먼트.
위 윌 낫 웨이버, 위 윌 낫 타이어, 위 윌 낫 팔터, 앤드 위 윌 낫 페일. 피스 앤드 저스티스 윌 프리베일.
4. 연설의 사회적, 심리적, 철학적 의미
(1) 사회적 의미
걸프전 연설은 국제 사회의 협력과 평화 유지를 위한 공동 대응을 강조한다. 부시는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이 단순한 지역 분쟁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문제라고 지적하며, 국제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다국적군이 필요함을 설명했다. 이는 미국이 세계의 경찰 역할을 자처한 역사적 순간 중 하나로 볼 수 있으며, 냉전 이후의 국제 질서 속에서 미국의 위상을 재확인한 계기가 되었다.
(2) 심리적 의미
이 연설은 국민들에게 단합과 결의를 강조하며, 정의와 평화를 수호하는 것이 미국의 사명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또한 "우리는 흔들리지 않을 것이며, 지치지 않을 것이며, 주저하지 않을 것이며, 실패하지 않을 것입니다"라는 강한 어조는 국민들에게 자신감을 불어넣고 국가적 사명의식을 고취하는 효과를 발휘했다.
(3) 철학적 의미
걸프전 연설은 정의와 국제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개인과 국가가 도덕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또한 침략을 용납하지 않는 강력한 원칙을 세움으로써 국제 사회에서 법과 정의가 지켜져야 한다는 철학적 입장을 보여준다. 이는 실용주의적 현실 정치와 도덕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강조하는 연설로 해석될 수 있다.
(4) 심리적 의미
이 연설은 국민들에게 단합과 결의를 강조하며, 정의와 평화를 수호하는 것이 미국의 사명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또한 "우리는 흔들리지 않을 것이며, 지치지 않을 것이며, 주저하지 않을 것이며, 실패하지 않을 것입니다"라는 강한 어조는 국민들에게 자신감을 불어넣고 국가적 사명의식을 고취하는 효과를 발휘했다. 이는 전쟁 상황에서 국민의 사기를 높이고 국가적 정체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
(5) 역사적 의미
걸프전은 냉전 종식 이후 미국이 주도하는 새로운 국제 질서를 확립한 첫 번째 전쟁이었다. 부시의 연설은 미국이 유엔과 국제 사회의 협력을 바탕으로 세계 안보를 책임질 의지를 강조한 것이었다. 또한 이는 미국의 군사력이 국제 분쟁 해결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의 대외 정책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5. 관련 추천 도서
- 《강대국의 흥망》 - 폴 케네디
- 《전쟁과 평화》 - 레프 톨스토이
- 《정의란 무엇인가》 - 마이클 샌델
- 《국가란 무엇인가》 - 유시민
- 《문명의 충돌》 - 새뮤얼 헌팅턴
Swimsuit Women Micro Bikini Bathing Suit Fashion Sexy Summer New Model Korean Version Cinjunto De Dos Piezas Mujer - AliExpress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www.aliexpress.com
'연설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바마의 승리 연설 (2008) - 버락 오바마 (3) | 2025.03.21 |
---|---|
9·11 테러 연설 (2001) - 조지 W. 부시 (2) | 2025.03.21 |
영국 의회 연설 (1982) - 로널드 레이건 (2) | 2025.03.21 |
사임 연설 (1974) - 리처드 닉슨 (1) | 2025.03.20 |
베를린 연설 (1963) - 존 F. 케네디 (3) | 2025.03.20 |